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MariaDB
- 리다이렉트
- Centos Node js
- js 내부함수 반복문
- 구글 클라우드 플랫폼
- 리디렉션
- 아두이노 ESP8266
- 아두이노 DB
- 아두이노 https
- js 내부함수
- Raspbian
- Apache
- CentOS8
- 라즈베리파이 3b+
- 라즈베리파이
- 리디렉트
- 아두이노 https post
- 아두이노
- redirect
- js for 반복문
- js 반복문
- 아두이노 fingerprint
- Today
- Total
dinist
아두이노 ESP8266 UNO 보드에 DHT11센서 사용하기 (Arducam) 본문
ArduCAM ESP8266 UNO Board
이 보드는 ArduCAM에서 카메라 모듈을 사용할 수 있도록 제작된 보드이다.
ArduCAM을 연결하여 관련 코드를 보드에 업로드하면 카메라모듈을 활용한 여러 작품을 만들 수 있을 것이다.
이 보드는 일반적인 Arduino UNO 보드가 아닌 다음사진과 같이 ESP8266이 내장되어있다.
https://www.arducam.com/downloads/ESP8266_UNO/ArduCAM_ESP8266_UNO_DS.pdf
본 보드에 대한 가이드이므로 참고한다.
가이드에도 나와있는 내용이지만 위 보드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보드 라이브러리를 추가해야한다.
아두이노 환경설정의 추가적인 보드 매니저 URL 공간에 다음 주소를 추가한다.
www.arducam.com/downloads/ESP8266_UNO/package_ArduCAM_index.json
그 이후 보드 매니저를 실행하여 타입을 Contributed로 선택하고 ArduCAM_ESP8266_UNO를 설치한다.
그 이후 보드를 PC와 연결 후 보드 타입을 ESP8266 Modules > ArduCAM_ESP8266_UNO로 보드설정을 한다.
설정이 잘 되고 업로드는 잘 되는지 테스트를 해보자.
파일 > 예제 > ArduCAM ESP8266 UNO의 예제 > ESP8266 > Blink 예제를 불러오고 보드에 업로드 해보자.
다음과 같이 업로드 완료 후 보드에서 LED부분이 1초 간격으로 LED가 2초동안 켜졌다 꺼지는지 확인해본다.
잘 되면 성공이다.
ArduCAM ESP8266 UNO 보드에 DTH11센서 사용
아두이노에 아래 링크를 통해 ZIP 라이브러리를 추가한다.
Github사이트에 접속하여 ZIP으로 다운로드 후에 아두이노 프로그램에서 다운 받은 ZIP을 추가해준다.
https://github.com/adafruit/Adafruit_Sensor
https://github.com/adafruit/DHT-sensor-library
모두 완료되면 예제를 통해 센서의 작동여부를 확인해보자.
파일 > 예제 > DHT Sensor Library > DHTtester 예제를 불러온다.
소스코드의 DHTPIN 매크로의 값을 보드에 연결한 GPIO PIN번호로 변경한다.
그리고 DHTTYPE 매크로의 값을 DHT11로 변경한다. 이미 소스코드상에 있으니 주석처리 및 주석해제를 해주면된다.
보드레이트는 115200으로 설정해줬다.
시리얼 모니터를 통해 확인해보니 잘 나온다. 측정 값이 완전히 정확하지는 않으므로 단순 참고로 하면 된다.
'아두이노' 카테고리의 다른 글
ARDUCAM ESP8266 UNO 보드에서 HTTPS POST 요청하기 (1) | 2020.08.11 |
---|---|
아두이노 ESP8266 UNO 보드에 MQ-5센서 사용하기 (Arducam) (0) | 2020.07.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