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js 내부함수 반복문
- 아두이노 fingerprint
- Centos Node js
- 리디렉션
- Apache
- 아두이노 DB
- js 반복문
- CentOS8
- Raspbian
- 아두이노
- 라즈베리파이 3b+
- js 내부함수
- 구글 클라우드 플랫폼
- js for 반복문
- MariaDB
- 아두이노 https post
- 라즈베리파이
- 아두이노 ESP8266
- 아두이노 https
- 리다이렉트
- redirect
- 리디렉트
- Today
- Total
dinist
[GCP] Cloud DNS로 DNS 운영하기 본문
이전에 CentOS와 Debian에 DNS Master, Slave 서버를 구축한적이 있다.
링크 : dinist.tistory.com/21?category=1158381
이번에는 구글 클라우드 네트워킹 제품중 하나인 Cloud DNS를 사용해보기로 한다.
테스트할 웹서버도 GCP의 Compute Engine을통해 운영중이다..
본론으로 들어가자면,
구글 클라우드 플랫폼의 메뉴에서
네트워킹 -> 네트워크 서비스 -> Cloud DNS를 선택하면 된다.
접속하면 다음과같은 화면이 나오는데, 나는 이미 하나를 추가해서 목록이 하나 표시된다.
DNS영역을 추가하려면 영역 만들기를 클릭한다.
그러면 아래와같이 영역을 설정할 수 있는 페이지가 나온다.
영역이름 : DNS영역의 이름을 정해준다.
DNS이름 : 쉽게 설명하면 DNS에서 제공될 사이트 주소를 입력한다.
DNSSEC : 자신이 이용하는 최상위도메인이 DNSSEC을 제공하고 환경을 구축했다면 사용을 하는게 좋다.
근데 내가 테스트로 사용하는 최상위도메인은 DNSSEC을 지원을 안한다!!
모두 입력해주고 만들기를 누른다.
그러면 다음과같이 영역 세부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처음 DNS영역을 생성하면 SOA와 NS영역만 추가된다. 추가적으로 필요한 레코드가 있다면
위에 레코드 세트 추가 버튼을 눌러 레코드를 추가한다.
A레코드를 추가하려면 리소스 레코드 유형을 A로 설정한다.
DNS 이름은 도메인 앞에 붙일 별칭을 작성하면된다.
예를들어 abc.wm8~~~.com을 접속하면 192.0.2.91로 접속하게 하려면
DNS이름에 abc를 작성하고 IPv4주소에 192.0.2.91을 작성하면 된다.
TTL은 Time To Live의 약자로 해당 레코드의 유효 시간을 설정하는것이다.
옆의 TTL단위는 분, 초, 시간, 일, 주 단위로 지정할 수 있다.
레코드 추가가 완료되면 dig명령어나 nslookup 명령을 통해 레코드가 정상적으로
조회가 되는지 확인해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