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js 내부함수 반복문
- 아두이노
- 아두이노 ESP8266
- js 내부함수
- 구글 클라우드 플랫폼
- 아두이노 DB
- 라즈베리파이
- CentOS8
- 라즈베리파이 3b+
- 아두이노 fingerprint
- 리디렉트
- redirect
- 아두이노 https
- MariaDB
- js for 반복문
- 리다이렉트
- Apache
- 리디렉션
- Raspbian
- js 반복문
- 아두이노 https post
- Centos Node js
- Today
- Total
dinist
리눅스 페도라 DHCP서버 설치하기 본문
VMware에 DHCP서버용으로 사용하기 위한 Fedora release32 64Bit를 설치했다.
Gnome GUI까지 모두 설정을 마쳤다. 그냥 CLI환경에서 해도 상관 없다.
그게 더 간편하고 편할것이다.
터미널에서 다음 명령을 입력한다. (root권한으로 실행해야함)
dnf install -y dhcp
그러면 설치가 진행될 것이다.
설치가 완료되면 터미널에 다음명령으로 사용중인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확인한다.
ls /etc/sysconfig/network-scripts/
그럼
다음과같이 ens33, 유선_연결_1이 나온다.
ifconfig 명령으로 위에서 나온 ens33을 확인하면 현재 내가 사용중인 인터페이스임을 알 수 있다.
이 ens33을 기억하자.
(사용자에 따라 ens33이 아닌 다른 인터페이스명이 올 수 있다.)
다음 명령을 입력하여 편집기를 실행한다.
vi /etc/sysconfig/dhcpd
그 다음 해당 파일의 맨 마지막부분에 다음 구문을 추가한다.
DHCPDARGS = ens33
자신의 인터페이스가 ens33이 아닌 다른인터페이스명이면 그 인터페이스명을 입력해준다.
DHCPDARGS 옵션은 DHCP메시지를 주고받을 인터페이스를 지정하는것이다.
두개 이상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사용중이라면 설정하는 것이 좋다.
모두 마쳤으면 본격적인 DHCP설정을 한다.
다음 명령으로 DHCP CONFIG 파일을 편집한다.
vi /etc/dhcp/dhcpd.conf
option domain-name : 기본적으로 사용할 도메인명을 지정한다.
예를 들어 domain-name : "dinist.com"일 경우, 위 dhcp서버를 통해 인터넷설정이 된 dhcp클라이언트는
호스트명으로 telnet,ssh,ping등의 요청시 자동으로 뒤에 도메인명이 붙게된다.
ping www 명령을 입력하면 ping www.dinist.com 으로 로 명령을 수행한것과 같다.
위 사진은 CentOS를 사용중인 dhcp client이다. resolv.conf 파일을 확인해보면
search dinist.com이 추가 되어있다. dinist.com이라는 도메인명을 검색에 활용한다고 생각하면 된다.
ping www 만 실행하면 어떻게 되는지 보자.
www뒤에 알아서 dinist.com을 추가해서 www.dinist.com에 대한 ping 요청이 이루어진다.
default-lease-time : DHCP Client는 DHCP 요청시 lease time을 설정할 수 있는데 Client가 이를 설정하지 않았을 경우 기본적으로 DHCP Client에게 할당할 lease time을 지정한다. (초단위)
max-lease-time : DHCP Server가 IP를 할당할 수 있는 최대 시간이다. DHCP Client가 DHCP 요청시 요청한 max lease time이 DHCP Server가 지정한 max-lease-time보다 클 경우 Server가 설정한 이 max-lease-time으로 지정된다. (초단위)
authoritative : 정상적인 DHCP Server임을 확인해주는 장치(?)라고 할 수 있다.
이 옵션이 없으면 다음과같은 로그가 남는다.
여기 까지는 전역설정부분이다. 모든 영역에 전부 적용이다.
subnet 10.10.10.0 netmask 255.255.255.0 : 10.10.10.0/24 네트워크에 대한 dhcp 설정의 시작
이 이후 옵션은 10.10.10.0/24 네트워크에서만 적용된다.
range : dhcp를 통해 할당할 ip의 범위를 지정한다.
형식 : range 시작ip 마지막ip
option subnet-mask : 서브넷 마스크를 지정한다.
option routers : 게이트웨이를 지정한다.
option domain-search : 기본 hostname을 조회할때 사용한다. 이 옵션이 없으면 domain-name옵션의 도메인을 사용한다.
option domain-name-servers : DNS서버를 지정한다.
모두 설정이 완료되면 다음 과정을 진행한다.
systemctl start dhcpd // dhcp데몬 시작
systemctl enable dhcpd // 부팅시 데몬 자동시작
완료되면
systemctl status dhcpd
명령으로 active상태인지 확인해본다.
오류가 발생하면 문법오류 가능성이 있다.
그리고 dhcp 클라이언트 테스트를 통해 설정한대로 잘 할당되는지 확인해보자
DHCP Client가 리눅스라면 별도의 설정을 해줘야한다.
GUI는 생략하고(직접 네트워크 설정에서 설정하면 되니까) CLI의 경우를 설명한다.
vi /etc/sysconfig/network-scripts/ifcfg-ens33 //ens33은 사용자에따라 다를 수 있음
BOOTPROTO="dhcp" 로 변경해주면된다.
그 후 dhclient ens33 명령 실행! // ens33이 아닌 다른 인터페이스명일 경우 바꿔주면 됨
Windows XP 클라이언트
잘 된다.
리눅스는 고정IP로 설정해서 테스트 안해봄!
위 설정대로 하면 잘 될것이다.
'리눅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etc/passwd에 대하여 알아보기 (0) | 2021.01.30 |
---|---|
Apache 웹서버 (수동) 설치하기 (웹 헤더보안 위주) (2) | 2020.11.11 |
DNS 서버 구축 [CentOS8, Debian10] (0) | 2020.11.01 |